안녕하세요. HAM입니다.
이번에는 민화 중에 책가도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책가도는 책장과 서책을 중심으로 해서 각종 문방구과 화훼, 기물, 골동품 등을 그린 그림을 이야기합니다. 18세기 후반 정조 재위시에 궁중회화로 유행하면서 19세기 이후에는 민화로 확산이 되었는데요. 현재까지 작가들도 책가도를 재해석해서 작업을 하고, 저 역시도 현대식으로 바꾸어 작업을 했습니다.
이 그림은 책거리도 입니다. 조선 19세기에 비단에 그려졌고, 각 161.7X39.5사이즈로 총 10폭짜리 병풍으로 제작이 되었습니다. 책거리는 책거리그림, 문방도, 문방기명도, 서가도, 책탁문방도 등의 여러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책가도와 책거리를 통용하기도 하지만 책장에 있는 것을 책가도라고 하고, 책장이 없는 걸 책거리라고 구별하기도 합니다.
높게 쌓아놓는 책더미와 서재의 여러가지 일상용품을 적절하게 배치한 정물화물 그림으로 전통 장식화, 민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책거리라 지금까지 꾸준하게 사랑받는 작품인듯 합니다.
처음에는 책장와 서책을 중심으로 해서 화면 전체를 채운 책장모양의 격자구획안에 책갑으로 붂인 서책과 향로, 핑통, 붓, 먹, 연적 등의 문방구를 비롯해 선비의 격조에 맞는 도자이, 청동기, 화명, 부채 등의 주요 소재로 다루어졌습니다. 또한 선비의 여가생활과 관련이 된 술잔, 술명, 담뱃대, 악기, 도검, 바둑판 등도 그림 속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19세기 초에는 책장에 있는 그림들이 나왔다면 후반부터는 서민들에게 확산이 되면서 병풍의 크기가 작아지고, 책장이 없는 형식들로 많이 그려졌습니다. 책장 대신해서 규모가 작은 탁자나 사랑방 가구가 그려져서 작은 화면에 많은 것을 담기 위해 서책을 비롯해서 물품들이 한 덩어리로 표현이 되었습니다.
또한 서책보다는 다양한 기물과 화훼, 과물 등에 비중을 둔 작품들이 나왔는데 이는 조선후기의 사회적 양상을 추청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책가도의 표현형식은 초기엔 서가로 구획된 화면에 소재들이 좌우 대칭을 이루어 정확하게 균형을 이루었지만 점차 자유로운 배치 구도로 변했습니다. 화법은 보는 이가 그림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 보는 이를 바라보는 듯한 역원근법으로 그려졌습니다.
처음에는 선비가 아들의 방을 장식하기 위해 주문을 했고, 서재에 비치되었는데, 면학에 정진하고, 글공부를 적극 권장했던 당시의 생활을 엿볼 수 있습니다.
.'
이 작품은 제가 가르치는 회원분께서 작업한 책거리입니다. 책가도라고도 하지만 구분해서 부를 때는 책장에 있지 않기에 책거리라고 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책거리는 갈색톤으로 작업을 했는데요. 무늬부터 해서 섬세한 표현이 요구되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이 그림을 그리는데, 두달정도 소요가 되었는데, 먹바림을 하고, 채색을 하고, 다시 진한 색으로 바림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던 작품이었습니다. 오늘은 책가도에 대해 알려드렸는데, 다음에는 십장생도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에 가볼만한곳 리스트 (0) | 2020.12.04 |
---|---|
우리 옛그림 기명절지도 (0) | 2020.12.04 |
수원여행지 네곳 추천 (0) | 2020.12.03 |
피조개 해감 효능알고 피조개무침먹기 (0) | 2020.12.03 |
민화 모란도의 의미 (0) | 2020.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