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3

강원도 영월여행가볼만한곳 추천 이번에 가족들과 함께 강원도 영월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여행을 계획하다 보면 하고 싶은 것도 많고, 맛있는 것도 먹으러 가고 싶은 생각이 드는데요. 몇 곳 추천해 드립니다. 이틀 동안 한 일정이고, 다음에는 다른 여행지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서부시장 강원도 영월여행 첫번째는 영월 서부시장으로 네비를 찍고 가면 바로 주차장이 보입니다. 공간이 넓지 않아서 주차를 하기는 조금 어려운 편입니다. 서부시장의 경우는 규모가 크지 않고, 사람들이 많이 오지 않아요. 이곳에 사람들이 오는 이유는 닭강정과 메밀전병 때문에 오십니다. 시장의 중간 쯤 오면 메밀전병, 수수부꾸미, 메밀전이 파는데, 줄 서서 기다릴 때도 있습니다. 개당 1500원씩 속이 아삭하고, 적당하게 매운데, 메밀은 쫀득해서 너무 맛있습니다. 체.. 2021. 8. 24.
통일신라 선승, 염거를 기리는 탑과 기록 오늘은 염거화상탑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염거화상탑은 지대석과 하대석 일부를 잃어 밑부분 마감이 허전해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부분의 조각 솜씨와 전체 조형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탑 기단부는 밑에서부터 하대석중대석상대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하대석 8면에는 사자가 입체적으로 새겨져 있고, 중대석 각 면에는 안상과 안상 내부에 향로와 꽃무늬 등을 돋을새김하였습니다. 상대석에는 위를 향하여 핀 아름다운 연꽃잎이 이중으로 탑신부를 받치고 있습니다. 기단부 위로 올라오면, 탑신받침 위에 팔각 탑신이 놓여 있습니다. 탑신에는 목조 건물처럼 기왓골과 서까래가 표현된 지붕과 처마, 앞뒤 문과 자물쇠, 기둥과 상인방, 창방 등 각 부재 표현과 더불어, 비천과 사천왕 부조상 등으로 장엄되었습니다.. 2021. 2. 26.
원공국사승묘탑 오늘은 원공국사승묘탑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앞 드넓은 열린마당 한쪽 벽을 따라 선승을 기리는 장엄한 탑과 탑비가 숲처럼 들어서 있습니다. 모두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전시품들로,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염거화상탑, (855년 제작)부터 마지막 거돈사 원공국사승묘탑( 1018~1025년 제작)까지 각 시대마다 문파를 대표하듯 거대한 고목과 같이 하늘을 받들고 서 있습니다. 불가의 깊은 깨달음을 얻은 승려를 기리는 석조물들 사이를 거닐다 보면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그 자취가 느껴집니다. 당대를 치열하게 살다 간 고승들을 기리고자, 왕실과 지방 호족들의 지원으로 이처럼 화려한 석조물을 세웠습니다. 원공국사 지종의 삶과 신앙이 탑은 원공국사 지종( 930~1018)을 기.. 2021. 2. 24.
한국화 국화와 나비 오늘은 국화와 나비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덕수 2483)라는 제목의 초충도 한 점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낙엽이 떨어지고 풀잎이 말라 가는 가을 정원에서 국화는 홀로 꽃을 피워 올립니다. 그림 속 두 줄기 국화에는 각각 분홍색과 노란색 꽃이 피어 있습니다. 철 늦은 나비도 반가이 꽃을 향해 날아들고, 여치 한 마리는 꽃 아래를 서성입니다. 국화 곁에는 마른 붓질로 그려낸 작은 바위가 놓여 있을 뿐, 배경은 비어 있습니다. 간결한 화면에 고고한 서정이 묻어납니다. 그림 위쪽 여백에는 화제와 발문이 있습니다. 넓은 공간에 그림과 어우러진 글은 조선시대 서화의 멋을 잘 보여 줍니다. 글과 그림에 남겨진 이야기를 따라 에 담긴 의미를 찾아가 보려 합니다. 국화, 초야에 은거한 선비의.. 2021. 2. 23.
시가 있는 접시 오늘은 시가 있는 접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 신안해저선 발굴 과정에서 매우 아름다운 한 점의 청백자접시가 발견되었습니다. 접시의 안쪽 바닥에는 두 개의 붉은 잎을 그리고 그 위에는 글씨를 적었습니다. 유수하태급, 심궁진일한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오언절구의 제12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알고 보니 이 시에는 당나라 때 한 남자와 여자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담겨 있군요. 시에 담긴 애틋한 사랑이야기당나라 희종 때 우우라는 선비가 낙엽이 뒹굴고 있는 창안(지금의 시안)의 황궁대로를 걷고 있었습니다. 선비는 궁 안과 연결된 개천에서 뭔가 글씨가 적힌 나뭇잎을 발견합니다. 그 시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습니다. 흐르는 물은 어찌 저리도 급한고, 깊은 궁궐은 종일토록 한가한데 은근한 마음 붉은 잎.. 2021. 2. 22.
백자 철화 포도 원숭이 무늬 항아리 오늘은 백자 철화 포도 원숭이 무늬 항아리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는 단정하면서도 넉넉하게 생긴 항아리 표면에 새겨진 능숙한 화원의 솜씨로 보이는 무늬가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합니다. 철화안료로 그린 그림은 안료가 바탕흙에 스며드는 성질 때문에 뭉그러진 부분도 있지만, 오히려 묵화 같은 깊은 감흥을 불러일으킵니다. 한쪽 면에는 포도 넝쿨 사이에서 노니는 원숭이 한 마리가 보입니다. 조선 철화백자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입니다. 몸체가 어깨부터 둥글게 부풀어 올랐다가 허리부터 서서히 좁아져 바닥에서 약간 벌어진 모습의 항아리입니다. 입 부분은 곧고 낮게 만들었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만들어졌던 항아리들의 특징입니다. 철화 안료를 사용해 입 둘레에 연속적인 .. 2021. 2. 20.
제갈량 초상화 오늘은 조선시대에 그린 제갈량 초상화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제갈공명으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한나라가 멸망한 뒤 위촉오 세 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기 위해 각축을 벌이던 시기에 한나라 왕실의 후예임을 내세운 유비를 도와 촉나라를 이끈 명재상입니다. 그의 초상은 조선 후기 문인 사회에 팽배해 있던 숭명배청 풍조와 군신일체의 북벌 의지를 드러내는 시대의 아이콘으로 오랜 기간 애호되었습니다. 주자학의 발달과 제갈량 숭배의 확산 삼국시대 지략가인 제갈량에 대한 숭배는 남송 대에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오랑캐라 여겼던 금나라에 중원을 빼앗기고 막대한 세폐를 바쳐야 했던 남송 지식인들의 상처받은 자존심은 중원을 호령하던 조조의 위나라보다는 변방의 작은 나라였지만 한나라를 계승한다는 명분을 지켰던 유비의 촉나.. 2021. 2. 19.
십이지도란? 오늘은 십이지도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십이지도라는 것은 약사여래를 수호하는 십이야차 대장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십이지도가운데 돼지를 형상화하였습니다. 사람의 몸에 무기를 들고 있으며 돼지의 머리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갑주를 입고, 뾰족한 쇠가 숭숭 박힌 공이 모양의 방망이를 들고 있으며, 눈은 부리부리하고 두 어금니는 입 밖으로 치켜 올라가 늠름하면서도 사나운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약사여래도에서 십이신장은 머리와 몸체 모두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 그림 속의 신장은 고대 무덤의 조각상과 마찬가지로 동물의 머리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십이지와 십이지상 십이지는 땅의 도를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의 12로 나누어 표시한 일종의 기호입니다.. 2021. 2. 18.
송시열 초상과 제작의 유행 오늘 소개시켜 드릴 그림은 국보 제 239호 송시열 초상입니다. 송시열은 본관이 충남 논산 은진이고 자는 영보, 호는 우암, 우재, 화양동주이며 시호는 문정으로, 조선시대 유학자이자 노론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초상화는 우암 송시열이 심의를 입고, 복건을 쓴 모습을 반신상으로 그렸습니다. 초상화를 그린 화가가 누구인지 알 수 없지만 송시열의 다른 초상화에 비해 과장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얼굴과 수염은 최대한 자세하게 그리되 몸체는 간결하고 담백하게 그렸습니다. 그럼으로써 초상화의 주인공을 더욱 부각시켰으며, 대유학자인 송시열을 생생하게 재현해 낼 수 있었습니다. 유학자의 상징, 심의와 복건 조선시대 초중기 초상화 양식을 대표하는 공신초상화는 짙은 색 단령에 화려한 흉배와 카펫이 대조를 이루는 표현으로 주.. 2021. 2. 17.
자라를 닯은 멋스러운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 자라를 닯은 멋스러운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 이번에 소개시켜드릴 것을 자라를 닯은 멋스러운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입니다. 이는 납작한 형태와 강렬한 색채와 화려한 무늬로 이국적인 느낌을 주는 분청사기 병입니다. 분청사기는 조선 15-16세기에 제작된 자기의 한 종류로 청자, 백자와는 다른 독특한 미감으로 눈길을 끕니다. 이 작품은 분청사기 자라병으로서는 드문 완형의 예로 독특한 기형, 과감하고 아름다운 표현으로 국보의 위엄을 당당하게 뽐내고 있습니다. 자라병이라는 이름은 명칭 그대로 자라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것입니다. 납작하고 둥근 몸체에 짧은 주둥이가 달려 있는데, 마치 자라가 엎드려 있는 것과 비슷해 보입니다. 보통 병은 가늘고 긴 목에 양감이 있는 몸체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하지만 이 자라병.. 2021. 2. 16.
뛰어난 조형미와 정교한 무늬의 은제도금화형탁잔 탁잔은 무엇에 쓰는 물건일까요? 탁잔은 액체를 마시는 데 사용한 그릇으로 액체를 담는 잔과 잔을 받치는 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탁잔은 보통 주전자와 세트를 이루어 사용되며, 잔의 크기에 따라 찻잔과 술잔으로 구분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차를 마시는 데 사용한 탁잔은 잔의 크기가 크고, 술을 마시는 데 사용하던 탁잔은 잔의 크기가 그보다 작습니다. 차는 따뜻하게 마시므로 찻잔은 열전도가 잘 되는 금속보다는 자기를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금속은 열전도가 잘되기 때문에 뜨거운 음료보다는 차거나 미지근한 음료를 마시는 데 사용했을 것입니다. 탁잔의 기원? 언제부터 사용했을까요? 중국 허난 성 밀현, 타호 정, 한 표의 화상석 에는 잔 아래에 받침인 반이 달린 도상이 등장하는데, 이것으로 .. 2021. 2. 15.
창조신 복희와 여와 투루판 어디서 사용될까요 창조신 복희와 여와 투루판 어디서 사용될까요? 해와 달 그리고 북두칠성을 포함한 별자리들이 떠 있는 하늘 한가운데 복희와 여와라는 이름의 두 신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마주 보는 두 남녀 신은 마치 한 몸인 것처럼 표현되어 있습니다. 어깨동무를 한 두 팔은 하나로 붙어 있는 듯 그려졌고, 하나의 치마를 공유하며, 뱀의 모습을 한 하반신은 서로 얽혀 있습니다. 7세기 투루판에서 제작된 이 기괴하고도 신비로운 그림은 어떤 그림이며 어디에 사용되었던 것일까요? 본관4027 복희여와도의 발견 복희여와도는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투루판 지역에서 국씨고창국과 당() 지배 시기에 해당하는 6세기부터 8세기 중반까지, 무덤 내부를 장식하기 위해 제작되었던 그림입니다. 중앙아시아의 유적과 유물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일본의 .. 2021. 2. 14.
반응형